본문 바로가기
노닥거리

로봇이 다가온다. (1편)

by 헤치요 2024. 6. 11.
SMALL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 그리고 고령화

 

로봇이 다가온다.

 

어릴 적 TV 봤던 미국 드라마, 전격 Z작전'키트' 

주인공이 손목에 찬 시계에 '키트'를 부르면 샤샤삭 달려온다.

놀랍게도 차안에는아무도 없다.

 

전격Z작전 - 키트

 

공상과학영화에서나 봤던 이런 기술들의 연계성이 접목된 자동주차기술, 자율주행자동차가

대표적인 것이 아닌가 싶다.

 

로봇도 그러하다.

 

로봇의 범위가 상당히 넓기 때문에 직접적인 예시를 들긴 힘들지만 우리가 어릴 적 상상만 했던 

것들이 펼쳐지는 요즘이다. 

 

로봇의 사전적 의미는 꽤 많다. 

- 걷기도 하고 말도하는, 인간과 유사한 기계장치

- 어떤작업이나 조작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기계장치

-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기계장치 등등등

 

요즘의 로봇은 '인간을 도와주는, 대신하는 기계장치' 정도로 정의하고 싶다.

 

결론은 협동로봇 이다.

 

산업용 로봇이든, 서비스용 로봇이든 따지고 보면 모두 인간을 도와주는 역할이다.

산업용 로봇에 공장자동화로봇, 협동로봇

서비스용 로봇에 청소로봇, 안내로봇, 물류로봇, 의료로봇 등

 

어느덧 우리 주변에 로봇이 다가왔다.

 

청소로봇, 커피를 만들어주는 로봇, 식당에서 음식을 서빙하는 로봇을 쉽게 볼 수 있다.

아파트 단지 안에서 택배물건을 배달해 주고, 위험한 전쟁터나 사고지역에 사람대신 침투를 하고, 

병원에서는 로봇이 수술을 한다. 

 

[ 로봇시장 매출 추이 ]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용 로봇의 매출 포지션에 변화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증가함에는 틀림이 없다.

그에 맞춰 국내 대기업의 사업 포트에 로봇은 빠짐이 없다.

 

-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 투자

- 현대자동차의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

- LG전자의 로보티즈, 로보스타 지분투자

- 두산의 두산로보틱스 상장 등 

 

국내 대기업의 로봇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모두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팩토리로 연계가 가능하고,

가전제품 양대산맥인 삼성전자, LG전자를 보니 가전제품에 로봇화를 가겠다는 강한 의지도 보인다.

 

그리고 4족 보행로봇, 인간형(휴머노이드) 로봇을 앞다퉈 개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 편에서 계속...

허위매물, 전세사기 걱정 없이 직방 지킴중개로 안심!
LIST